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동탄인덕원선 다른말로 인동선은 인덕원과 동탄을 잇는 노선인데요. 인동선 자체가 사실 가치가 높은 노선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서울 핵심지와 직결되지 않은 노선이기에 핵심지까지 빠르게 도달할 수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환승노선으로서의 가치는 제법 큰 동탄인덕원선이기에, 개통시 교통 음영지역들은 수혜를 제법 볼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하여 이번 시간에는 동탄인덕원선 (인동선) 착공시기, 개통시기, 노선도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동탄인덕원선 (인동선)

     

    동탄인덕원선 (인동선)

     

    동탄인덕원선 (인동선) 은 서두에 말씀드렸듯이, 서울과 직결하는 노선이 아니기에 엄청난 가치를 품고있다고는 말할 수는 는 없습니다. 다만, 경기 남부 교통 소외 지역GTX C 정차역인 인덕원역과 동탄역으로 이어주는 환승노선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해당지역들은 수도권 접근성이 좋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인동선 총 17개 역사중에서, 인덕원역, 동탄역과 좀 더 가까운 곳들이 시세 영향을 많이 받을 확률이 높겠죠. 수도권 부동산 시세는 핵심지까지 얼마나 빠르게 가느냐에 따라 집값이 좌우되기 때문입니다.

     

     

     

     

    착공 및 개통 시기

     

    착공 및 개통 시기

     

    동탄인덕원선 (인동선)은 당초 26년말 개통을 목표로, 21년 4월 착공에 들어갔는데요. 수원시, 용인시, 화성시에서 4개 정차역 추가 설치할 것을 요구하였고, 요구가 받아들여지며 4,000억 정도의 사업비가 추가로 필요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당초 계획된 사업비에서 15% 이상 초과하게 되면서 사업 계획 적정성을 재검토 받았고, 이에 21년 4월부터 3년가까이 착공이 지연됐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3년 8월 적정성 재검토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착공을 할 수 있는 상태라, 24년 내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개통 시기는 29년로 보고 있고요. 추가로 일정 지연이 발생할 경우 30년~31년 까지 늦춰져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상황이긴 합니다. 

     

     

     

     

    노선도

     

    노선도

     

    인동선 노선도는 17개 역사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인덕원 ~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 ~ 호계사거리 ~ 오전 ~ 의왕시청 ~ 북수원 ~ 수원야구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 법원사거리 ~ 원천 ~ 흥덕 ~ 영통 ~ 서천근린공원 ~ 반월초 ~ 능동 ~ 반송 ~ 동탄

     

    이 역들중에서 GTX C노선 정차역인 인덕원역과, GTX A노선이 현재 지나고 있는 동탄역까지 상대적으로 빠르게 갈 수 있는 곳이 어디인지 살펴보고, 어느 곳이 수혜를 받을 수 있는지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동탄인덕원선 (인동선)의 의미, 착공 및 개통 시기, 노선도 등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계속 말씀드리지만, 인동선은 주변에 굵직한 노선들과 어떻게 연계가 되는지가 핵심이기 때문에, 해당 역들이 언제 개통되는지 여부등을 모니터링하는게 중요합니다. 

     

    특히 GTX A노선 전구간 개통, GTX C노선 개통이 맞물리는 시점에 인동선도 개통이 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그때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좋다면 관련 지역들은 뜨겁게 달아오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결론은, 아직은 뜨겁지 않은 현재 시점에서 인동선이 착공되기 전 저평가 단지, 수혜지역들을 임장다니면서 체킹하고 모니터링하여 결정을 내리는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확정되는 기대수익이 있는데, 저평가 단지이다? 이보다더 안정적인 투자는 어디 있을까 싶은거죠. 

     

    아무래도 미래가치가 좋은 곳의 저평가 단지를 잘 찾는게 중요해 보이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