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퇴사 후 실업급여를 첫 회차부터 5차까지 단 한 번도 막히지 않고 받으려면 ‘서류·타이밍·증빙’ 세 가지를 완벽히 맞춰야 합니다. 이번 글은 실업급여 기본 개념, 실업인정신청서 작성법과 첫 14 일 규칙, 부정수급을 피하는 신고·제출 요령, 입사지원·특강·심리검사까지 구직활동 증빙 6‑종 세트, 4차 방문형 실업인정 준비·대기시간 단축 팁, 5차 심리검사 선택부터 인터넷 제출까지 전 과정을 차수별로 해부했습니다.

     

    마지막에는 1차~5차 요건을 표로 총정리하고, 실제 센터에서 자주 받는 질문을 FAQ로 정리했으니, 이 글 한 편으로 서류 누락·지급 지연·부정수급 걱정을 싹 지우시길 바랍니다. 

     

     

     

     

    실업급여란

     

    고용보험 가입자가 비자발적으로 퇴사하고, 퇴사일 기준 18 개월 안에 180 일 이상 보험료를 납부했다면 받을 수 있는 구직 지원 급여입니다. 첫 7일은 ‘대기 기간’으로 미지급, 이후 실업인정이 완료된 날부터 회차별로 지급됩니다.

     

     

     

     

    실업인정신청서란?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14일 주기로 실업인정신청서를 제출해 “이번 기간에 재취업 활동을 했다”는 사실을 고용센터에 보고해야 합니다.

    • 실업인정일: 수급자격 신청일에서 14일 후(센터별 1~2일 차이) 지정.
    • 제출 가능 시간: 인정일 00:00 ~ 17:00(오후 5시) 온라인/모바일 접수.
    • 미제출 시: 해당 회차 급여 미지급, 14 일 이내 1회 ‘사후 변경’ 신청 가능.

     

     

    실업급여 수급 시 주의사항

     

    1. 수익 발생 즉시 신고 – 일용·프리랜서·광고 수익까지 모두 신고.
    2. 오전 제출 권장 – 오류 발생 시 센터 전화 요청에 재제출이 가능.
    3. 인정일 외 일정 비우기 – 재제출 상황 대비, 컴퓨터 사용이 가능한 장소에 대기.

     

     

    구직활동 증명 방법

     

     

     

    [구직활동 증빙 목록]

    • 고용24
      ‑ 필수 증빙: 전산 연동(별도 서류 없음)
      ‑ 제출 형식: –
    • 잡코리아·사람인
      ‑ 필수 증빙: 채용공고 + ‘지원 완료’ 화면
      ‑ 제출 형식: JPG / PNG / PDF
    • 기업 홈페이지
      ‑ 필수 증빙: 채용공고 + 제출 완료 캡처
      ‑ 제출 형식: JPG / PDF
    • 이메일 지원
      ‑ 필수 증빙: 공고 파일 + 보낸편지함 화면
      ‑ 제출 형식: JPG / PDF
    • 면접 응시
      ‑ 필수 증빙: 면접확인서(양식) + 담당자 명함
      ‑ 제출 형식: 스캔본 또는 사진
    • 채용박람회
      ‑ 필수 증빙: 참가확인증·입장권
      ‑ 제출 형식: 사진

     

     

     

     

    실업급여 4차 실업인정

     

    4차부터는 고용센터 방문(출석형)이 원칙입니다. 온라인 대체는 불가하며, 방문 시 담당자에게 지난 4주간의 구직활동을 설명하고 증빙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구직활동 증빙 서류는?

     

    • 입사지원 캡처 1건 이상(날짜 포함)
    • 혹은 면접확인서·박람회 참가증 등 구직 외 활동 1건
    • 신분증·취업드림수첩(장기수급자) 지참

     

     

    방문 날짜 못 맞출 땐?

     

    인정일 다음 날부터 14일 이내에 센터 방문 후 ‘사유서 + 증빙(병원 진단서·훈련 출석표)’를 제출하면 1회에 한해 변경 가능.

     

     

    방문 꿀팁

     

    • 08:50 전 도착: 창구 10여 개가 있어도 대기 1 시간은 기본.
    • 센터 내 프린터는 2~4대뿐이므로 서류는 미리 출력.
    • 주차 공간 협소. 대중교통 이용이 안전.

     

     

    5차 준비 과정

     

     

    5차부터는 구직활동 1건 + 구직 외 활동 1건이 의무입니다. 가장 간편한 구직 외 활동이 직업심리검사(수급 기간 1회 한정).

     

    1. 고용24 → 취업지원 → 취업가이드 → 직업심리검사.
    2. ‘성인 심리검사 바로가기’ 선택, 25 분(S형) 권장.
    3. 검사 종료 후 결과 화면 캡처 또는 PDF 저장.

     

     

     

     

    5차 실업인정 인터넷 신청

     

     

    1. 실업급여 → 실업인정 → 인터넷 신청(00 ~ 17시).
    2. 구직활동 1건 입력: 지원 기업·날짜·직무 기입 + 캡처 첨부.
    3. 구직 외 활동: 유형 ‘직업심리검사’, 과정명·검사일 입력, 결과 캡처 첨부.
    4. ‘제출 완료’ 후 상태가 ‘실업인정 완료’로 바뀌면 승인.

     

     

     

     

    5차 지급일?

     

    인터넷 신청 다음 영업일, 평균 09:30 ~ 11:00 사이 입금(센터별 약간 차이).

     

     

    1차~5차 총정리해보면

     

     

    [1차 ~ 5차 실업인정 요건 총정리]

    • 1차
      ‑ 대면/온라인: 온라인 교육
      ‑ 필수 활동: 집체·온라인 교육 1회
      ‑ 선택 활동: 없음
      ‑ 증빙 포인트: 교육 수료증
    • 2차
      ‑ 대면/온라인: 온라인 가능
      ‑ 필수 활동: 구직 1건
      ‑ 선택 활동: 취업특강 1회
      ‑ 증빙 포인트: 지원 내역 캡처·PDF
    • 3차
      ‑ 대면/온라인: 온라인 가능
      ‑ 필수 활동: 구직 1건
      ‑ 선택 활동: 특강·훈련 1회
      ‑ 증빙 포인트: 제출 기간 내 날짜 포함 캡처
    • 4차
      ‑ 대면/온라인: 센터 방문(대면)
      ‑ 필수 활동: 구직 1건
      ‑ 선택 활동: 구직 외 1건
      ‑ 증빙 포인트: 원본 서류 지참
    • 5차
      ‑ 대면/온라인: 온라인
      ‑ 필수 활동: 구직 1건
      ‑ 선택 활동: 직업심리검사 1회
      ‑ 증빙 포인트: 검사 결과 캡처 또는 PDF

     

     

    FAQ

     

    Q. 면접확인서 양식은 어디서 다운로드?

    고용센터 홈페이지 > 서식 자료실.

     

    Q. 4차 방문 지각 시 인정?

    센터별 유동시간 ± 30분, 지각 예상 시 전화 후 도착 권장.

     

    Q. 온라인 교육은 회차마다 몇 번까지 가능?

    1차 1회, 2~4차 각 1회, 심리검사 1회 한정.

     

    Q. 14일 변경권 이미 쓴 뒤 또 못 가면?

    부득이한 사유(입원, 재난 등) 증빙 시 센터장 재량 인정 가능.

     

     

    마무리

     

     

    실업급여는 ‘출석(또는 시간 내 제출) + 날짜 찍힌 증빙’만 지키면 차수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4차 출석형을 무사히 넘기고, 5차 심리검사까지 활용하면 서류 준비와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일정표에 인정일과 증빙 마감일을 미리 적어 두고 놓치지 마세요. 꼼꼼한 준비가 재취업 준비 기간을 편안하게 만들어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