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현재 36% 공정률로 진행되고 있는 동북선은, 동북권의 도심 접근성을 대폭 개선시키는 노선입니다. 중계동 일대에서는 동북선을 애타게 기다리고 계신 분들이 많을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동북선 경전철 (동북선 도시철도) 노선도, 개통 완공 시기, 수혜지역 (중계, 월계역)은 어디인지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동북선 경전철(동북선 도시철도) 노선도

    동북선 경전철 노선도는 16개역사, 13.4km 길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계역에서부터 왕십리역까지 한번에 갈 수 있는 노선이고요. 

     

    앞서 말씀드렸듯이, 동북권 도심 접근성을 개선시키는 노선으로,  먼저 환승역으로 한번에 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왕십리역에서 2호선/5호선/경의중앙선/수인분당선, 제기동역에서 1호선, 고려대역에서 6호선, 미아사거리역에서 4호선, 월계역에서 1호선, 하계역에서 7호선, 상계역에서 4호선으로 환승이 가능합니다. 

     

    두번째로 강남 방면 출퇴근 수요를 분산시킬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현재 동북권 지역에서는 1호선, 4호선, 7호선이 다니는데 강남을 지나는 노선은 7호선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동북선이 개통되면, 왕십리역까지 상계역에서 출발하여 25분에 갈 수 있기 때문에, 출퇴근길 포화도가 조금은 나아질거라는 전망입니다. 

     

    역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101 왕십리 ~ 102 마장축산물시장 ~ 103 제기동 ~ 104 고려대 ~ 105 종암 ~ 106 종암경찰서 ~ 107 미아사거리 ~ 108 신미아 ~ 109 북서울꿈의숲 ~ 110 우이천 ~ 111 월계 ~ 112 하계 ~ 113 서울시립과학관 ~ 114 은행사거리 ~ 115 불암산 ~ 116 상계

     

    개통 시기 (완공 시기)

    동북선 도시철도 개통 시기(완공 시기)는 2026 하반기 목표로, 공사 진행중인 상태입니다. 

     

    수혜지역 (중계, 월계역)

    동북선 수혜지역으로 먼저 중계를 꼽을 수 있는데요. 중계동은 우리나라 3대 학원가 중 하나로, 약점이 구축아파트가 많고, 역까지의 거리가 애매하다는 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중계동 은행사거리역이 들어서게되면 역까지의 거리 문제는 해결될 것이고 이에따라 입지가치도 꽤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월계역 일대도 수혜지역이라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월계역 광운대역 주변으로 재건축 등 정비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광운대역은 광운대 역세권 개발과 GTX C 정거장이기 때문에 동북선(월계역)과 내는 시너지 효과는 상당히 클 것이라고 봅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동북선 경전철 (동북선 도시철도) 노선도, 개통 완공 시기, 수혜지역 (중계, 월계역)은 어디인지까지 살펴봤습니다.

     

    경전철이라 파급력이 적은거 아니냐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동북선은 교통 음영지역이었던 곳들에게 혈을 공급해주는 것과 다름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파급력을 미칠곳이 꽤 된다고 보고요.

     

    동북선 하나만 볼것이아니라, 그와 버무려질 수 있는 환승노선의 가치, 광운대역세권 개발, 광운대역 GTXC노선 등을 같이 보셔야 동북선의 가치를 잘 이해하실거라고 생각합니다. 

     

    문제없이 공사 진행만 잘 된다면, 26년 개통예정이니 가시권에 있는 호재라는 것도 눈에띄는 부분이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