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 도시철도 트램은 마산과 창원 진해를 잇는 사업입니다. 개통 시 100만 인구 도시 중 가장 대중교통 분담률이 낮은 곳인 창원의 친환경 대중교통 수단이 출범하게 되는 것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창원 도시철도, 창원 트램 개통 진행상황, 기대효과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내년 트램 개통 예정지👆 창원 도시철도 창원 도시철도 트램은 지속가능한 대중교통 체계를 구축하고,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하여 추진되고 있는 사업입니다. 창원시는 승용차 분담률이 전체 60% 이상으로, 매년 주차문제와 교통체증 등 사회 경제적 손실뿐만아니라 환경적인 문제점도 대두되고 있는데요. 우선적으로 창원시는 BRT 간선급행버스체계를 24년 5월 개통하여 대중교통 이용환경을 조성한 후에, 궁극적으로는 도시 철도를 도입하여 친환경..

BRT는 대도시권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통행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도입된 교통체계입니다. 저비용으로 고효율을내는 대중교통 수단인 BRT 구축 시, 건설비는 지하철의 1/10 이하 운영비는 지하철의 1/7 이하로 가성비 있는 대중교통 운영이 가능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BRT 뜻, S BRT 뜻, S BRT 착공 개통 진행상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가성비 교통수단 개통👆 BRT 뜻 BRT 뜻은 'Bus Rapid Transit'의 줄임말로 도심과 외각을 잇는 주요 간선도로에 버스 전용 차로를 신설해 급행버스를 운형하는 대중교통체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BRT는 환승시설, 버스전용차로, 교차로에서 버스 우선 통행 등을 갖춰서, 신속성을 높여 빠르고 편리한 대중교통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입된 교통쳬계라고 ..

광주나주광역철도 노선도는 광주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 환승역사인 상무역에서부터 나주 혁신도시를 거쳐 나주역을 잇는 노선인데요. 개통이 된다면 광주 나주간 평균 이동 시간이 33분으로 기존 88분에서 48분 정도 감축될 예정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광주나주광역철도 노선도, 착공 개통 진행상황, 기대 효과 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개통 임박 호재 총정리👆 광주나주광역철도 노선도 광주나주광역철도 노선도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지방권 선도사업으로 선정되어 추진중인 사업인데요. 상무역을 기점으로해서 전남혁신도시를 지나 나주역에 이르는 총 길이 28.1km 복선전철 사업입니다. 개통 시 해당 지역 일대의 주민들이 이용하는 국도 13호선, 국도 1호선 교통체증이 완화될 것으로 보이고요. 광주 최고의 호..

대구신공항은 공군기지와 민간공항을 의성군 비안면, 군위군 소보면을 이전 부지로 정하여 통합 이전함에따라 추진되고 있는 사업입니다. TK신공항이 개항 시 민간공항은 여객 1,226만명, 화물 21.8만톤 처리가 가능한 시설을 갖추게 되는 것이고, 3500m 규모의 활주로를 갖춰 중장거리 노선 취항도 가능해질 예정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구신공항, TK신공항 위치, 착공 개통 시기 (진행상황) 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제2공항철도 진행상황👆 대구신공항 대구신공항 건설 사업은 기존 대구 공항과 국군 공항기지가 대구시 동구에 위치함에따라 동구 주민들이 엄청난 소음 피해를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구광역시 시민의 10% 규모인 24만명이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봤고 배상액만 5100억 원이 넘는 전국 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