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연수구에 위치한 송도동은 본격적으로 2022년 4월부터 하락세를 나타내기 시작하더니 현재까지 그 안좋은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언제까지 안좋은 흐름을 이어갈까요? 제생각에는 단기간에 반등하기는 쉽지 않아보입니다. 인천 연수구의 입주물량이 2023년부터 3년간은 과공급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송도 부동산에 대한 관심을 꺼야할까요?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비록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향후 입주예정물량 때문에 단기간에 반등은 힘들겠지만, 가격적으로 저평가인 상태라면 언제금 반등할 지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지금부터 주기적으로 꾸준히 송도 부동산 시세를 체크하여 다가오는 기회를 캐치해낼 수 있다면 수익으로 보상을 받을 것입니다. 그럼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현재 송도 부동..

요즘 부동산 분위기가 안좋은 가운데 하락이 심한 지역들이 많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그중의 한 곳이 서울시 송파구인데, 송파구 내에서도 핵심입지에 위치하고 있는 잠실 엘스의 하락폭이 심상치가 않습니다. 과연 이런 현상이 기회일까요? 위기일까요? 이번 시간에는 잠실 엘스의 현재 분위기와 하락하는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잠실 엘스 분위기 1) 26평 위는 잠실 엘스 26평의 매물 흐름입니다. 파란색 실선이 매물 호가이고, 빨간 막대가 전세 매물 갯수입니다. 보시다시피 매물 호가는 연초대비 계속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고, 전세 물량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동안은 쉽지 않아 보이네요. 2) 34평 위는 잠실 엘스 34평의 매물 흐름입니다. 파란색 실선이 매물 호가, 파란색 막대가 매물 갯수인데 매물이 줄어들..

세종시는 2021년 8월부터 본격적으로 하락세에 접어들었고 현재까지 조정을 받고 있는 지역입니다. 세종시 부동산이 마냥 떨어지기만 할까요?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2020년 세종시 부동산이 많이 오른 만큼 현재 안좋은 대외환경까지 겹쳐서 조정을 받고 있지만, 세종시는 2025년까지 입주 예정물량이 감소 추세에 있고 현재 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만큼 점점 매력적인 매수 포인트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3주~4주 간격으로 세종시 부동산 매물 시세를 계속 체크해나가려고 합니다. 매물 시세를 체크하는 이유는 매물 시세가 실거래가 시세를 선행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22.10.30 기준 현재 세종시 부동산 가격 흐름이 어떤지 체크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저는 위의 KB..

현재 인천은 입주물량 및 안좋은 대외환경(급격한 금리 이상 및 대출규제)으로 조정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송도같은 경우 최고가 대비 30퍼 이상 하락한 단지도 심심치 않게 보이고 있는데, 조정을 받고 있으니 저평가일까요? 아니면 아직 고평가일까요? 그것을 알아보기 위해 과거 수도권 내 비슷한 시세를 형성했던 단지들과 비교를 하여 인천 아파트 가격이 어떤 상태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수도권 아파트끼리 비교하는 이유 인천은 인천 따로 흐름을 가져간다고 보시면 안됩니다. 수도권 전체 즉 인천, 서울, 경기 흐름을 같이 간다고 보셔야합니다. 실제 수도권 매매지수를 통해서도 이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위는 10년간의 서울, 경기, 인천의 매매지수 그래프입니다. 보시다시피 비슷한 흐름을 가져가는..